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선교사 처음 이야기

Missionary Story

선교사 소개

Hulbert, Homer Bezaleel(헐버트)
출생
1863. 미국
별세
1949. 한국
한국활동기간
1886 ~ 1907
국적
미국
소속교단
감리교
묘비번호
B-07(m)
선교사 동영상

선교사 이야기

“한국인보다 더 한국을 사랑한 외국인”



한국의 교육 선구자 헐버트


헐버트는 한국의 은인, 한국 사람보다 더 한국을 사랑한 외국인으로 칭송받는 인물이다. 1863년 1월 26일 미국 버몬트에서 목사의 둘째 아들로 태어난 헐버트는 1884년 다트마우스(Dartmouth) 대학을 졸업하고, 유니온 신학교 재학 중이던 23세 때 육영공원(育英公院) 영어교사로 1886년 7월 4일 내한하였다.


1886년 9월 23일 개원한 육영공원의 운영과 교육내용 및 방법에 관한 규정으로 ‘育英公院 設學節目’을 제정한 헐버트는, 학생들이 세계 지리에 관심을 보이자 1889년에는 <士民必知>를 한글판으로 발행했는데 이 책은 많은 학교에서 필수 교재로 사용되기도 했다.


5년 동안 교사 생활을 한 후 학교가 문을 닫자 귀국했던 헐버트는 1893년 9월 감리교 선교사로 다시 한국에 오게 되었다. 다시 방한한 그는 배재학당 안의 삼문출판사를 중심으로 주로 문서선교에 관여하며 다양한 주제로 한국에 관한 글들을 발표하는 한 편, 1903년에 창설된 한국 YMCA의 초대회장을 맡기도 하였다.

 

고종의 외교고문으로 독립을 위해 힘쓰다


일본이 을사늑약으로 한국의 외교권과 재정권을 강제로 빼앗기 바로 전, 고종은 시어도어 루즈벨트 미국 대통령에게 외교적인 도움을 호소하기 위해서 헐버트를 밀사로 파견하였다. 이때 미국과 일본은 이른바 '가츠라태프트밀약'을 맺고 필리핀에 대한 미국의 이권 보장과 한국에 대한 일본의 야망을 서로 묵인한 상태였다.


그런데 이것을 모르고 있던 고종은 1882년 체결된 조미수호통상조약 제1조, 즉 쌍방 중 어느 한 나라가 제3국에 의해서 침략을 당할 경우 다른 한 나라는 이에 간섭해서 우호적으로 사태를 해결해 줘야 한다는 거중조정 내용을 문구 그대로 믿고 밀사를 파견했다. 결국 헐버트는 친일인사들로 구성된 미국 정부에 고종의 밀서를 접수시키지도 못하였고, 한국과의 신의를 저버린 자신의 조국을 원망하면서 돌아올 수 밖에 없었다.

 

헤이그에서 한국 독립의 정당성 호소


헐버트는 헤이그에서 만국평화회의가 열린다는 사실을 한국정부에 알리고 그것을 한국 독립의 정당성을 알리는 외교적인 통로로 활용하기를 권고하였다. 이에 고종은 1907년 헤이그 만국평화회의에 이준 등 세 사람의 밀사를 파견하였다. 헐버트 자신도 헤이그로 가서 유럽 언론과의 인터뷰를 통해서 한국 독립의 정당성을 호소하였다. 하지만 일본의 압력으로 이 일도 결국 실패하고 말았다.

 

해외 독립운동을 돕다


1909년 8월에 헐버트는 다시 한국으로 들어왔다. 강제로 퇴위된 고종으로부터 상하이 독일계 은행에 예치해 둔 25만 달러 상당의 비자금을 찾아 안전한 은행으로 옮겨 달라는 밀명을 받았다. 하지만 해외독립운동을 돕기 위해서 비밀리에 마련해 둔 이 자금도 일본 통감부의 간계로 결국 다 빼앗기고 말았다.

 

마지막까지 이어진 한국 사랑


미국으로 돌아간 헐버트는 순회강연과 신문기고를 통해서 기회가 있을 때마다 한국의 독립을 주장하고 루즈벨트의 대한정책을 비판하며 한국을 잊지 않고 돕는 일을 했다. 광복 후 이승만 대통령의 초청으로 86세의 노구를 이끌고 내한하였지만 노쇠한 육신으로 오랜 여독을 견디지 못하고 쓰러져 1949년 8월 5일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웨스터민스터 사원보다 한국에 묻히고 싶다."는 헐버트의 유언에 따라, 그의 유해는 한 살 때 죽은 그의 아들이 묻혀있는 양화진에 안장되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