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화진, 버들꽃나루, 한강을 중심 무대로 삼은 조선왕조에서 교통과 국방의 요충지였습니다. 양화진의 깊은 강물에는 대규모 선박들이 하역할 수 있어서 제물포로 들어오는 전국 각지의 생산물이 양화진을 통해 도성과 궁궐로 배분되었습니다. 반면 이러한 천혜의 입지조건으로 인해 양화진은 한성을 넘보는 외적들이 쉽게 들이닥칠 수 있는 국방의 취약지이기도 했습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양화진의 전략적 중대성은 더욱 부각되어 영조 30년에(1754) 군사적 주둔지로서 군진(軍陣)의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한 때 그 명칭이 양화진이 되기도 하였습니다.
옛 지도에 나타난 양화진
구한말 조선과 서구 세력의 물리적 충돌은 주로 수상(水上)에서 일어났는데 양화진도 예외가 아니었습니다. 대원군의 천주교 탄압을 응징하고자 프랑스 군함 세 척이 1866년 3월에 양화진까지 침범했다가, 같은 해 10월 강화도에서 패퇴하는 병인양요가 발생하였습니다. 이 사건으로 대원군의 척화 의지는 더욱 강화되었고 천주교도들에 대한 박해도 극심해졌습니다. 대원군은 양이(洋夷)에게 더럽혀진 한강을 사교(邪敎)들의 피로 씻는다고 하면서 양화진 앞 강물을 천주교도들의 피로 물들였습니다.
제물포의 군함
양화진은 갑신정변(1884)에 실패하고 일본으로 망명했던 개화파의 거두 김옥균(金玉均)
이 1894년 조선 왕실에 의해 능지처참되어 효시 당한 곳이기도 합니다.
이처럼 양화진은 낯선 서구의 물결과 조선의 묵은 정신세계가 순순히 합류하지 못하고 충돌하여 엄청난 파장을 일으킨 곳이었습니다.